◎ OSI 7 Layer

– 처음에는 네트워크 관련 제조사마다 각자 다른 독자적인 계층 구조를 사용했으나 타사와의 호환이 문제가 되어 참조모델로써 OSI 7 Layer가 도입되었습니다

– 호환 뿐 아니라 표준화를 통해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데이터의 흐름을 파악해 문제점을 해결하기가 좀 더 수월합니다

– OSI 7 Layer는 위 그림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

– 데이터를 보낼 때는 7계층에서 1계층까지 거치면서 각 계층의 헤더와 여러 정보 (발신자의 주소 등)가 원래 데이터에 붙게 되는데 이것을 Encapsulation이라고 합니다

– 데이터를 수신한 입장에서는 1계층에서 7계층까지 거치면서 패킷의 헤더들이나 정보들을 벗겨내면서 원래 데이터를 만드는데 이것을 De-capsulation이라고 합니다

 

◈ Application ( 7계층 – 응용계층 )

–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

–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(서비스 제공)

– Ex > FTP , Telnet , SMTP , DNS , DHCP ….

 

◈ Presentation ( 6계층 – 표현계층 )

– 보내질 데이터의 포맷 즉 형식을 지정하는 계층입니다

–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부호체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것에 대한 변화를 규정하고 데이터 형식을 정합니다

– 데이터 형식이라 하는 것은 확장자나 파일 포맷 뿐 아니라 Charater Set이나 Encoding 등도 포함됩니다

 

◈ Session ( 5계층 – 연결계층 ) //논리적인 연결

– 연결을 담당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입니다

– 연결 즉 세션을 맺고 끊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통신에 있어서 양쪽 즉 수신과 송신 컴퓨터간의 최초연결과 연결유지를 담당합니다

 

◈ Transport ( 4계층 – 전송계층 ) // port

– 서비스를 PORT주소로 구분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

– 만약 보내는 데이터가 클 때는 데이터를 쪼개서 패킷으로 만드는 역할 또한 연결계층이 담당합니다

– 데이터 전송 중 네트워크 오류나 기타 장애로 인해 데이터가 중간에 끊긴 경우 역시 연결계층에서 실패한 패킷만 재전송하는 역할도 합니다

– 4계층의 데이터 전송방식에는 TCPUDP가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간단하게 TCP는 신뢰성 / UDP는 빠른 속도를 가집니다

– 4계층의 PDU(Protocol Data Unit)은 Segment입니다

 

◈ Network ( 3계층 – 네트워크계층) //ip

– 논리적 주소인 IP를 가지고 통신노드에 대한 다양한 경로를 설정하고 라우팅 및 망,노드간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계층입니다

–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위해 논리적 경로, 링크를 설정하고 흐름이나 순서를 제어합니다

– 3계층의 PDU는 Packet과 Datagram입니다

 

◈ Data Link ( 2계층 – 데이터링크계층)

– 물리적 주소인 MAC을 사용해서 노드대 노드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입니다

– PDU는 Frame으로 Encapsulation시에 헤더와 테일을 붙이는데 테일을 붙이는 이유는 데이터의 무결성검사 즉 오류체크를 하기 위해서입니다

– LAN Protocol = Ethernet / WAN Protocol = HDLC , PPP

 

◈ Physical ( 1계층 – 물리계층 )

– 다 만들어진 패킷, 데이터를 실제 전기적신호로 바꾸어 물리적인 선을 타고 수신자에게 보내는 계층입니다

 

 

+ Recent posts